글쓴이 : 이정범 작성 : 2006.07.17 조회 : 3,860 |
http://cafe.daum.net/vetenam. 고엽제전우회 부산지부동래지회 mbcTV 이제는 말 할 수 있다.(월남에서 돌아온 새까만 김병장) 다시보기 라이센스를 취득하기 위해 이 웹 페이지를 여시겠습니까? 이런 창이 뜨면 예를 클릭 합니다. 로그인을 합니다.(mbc에 회원등록이 안되신분은 회원등록을 합니다) 로그인후 ※ 결재하기에서 문화캐시(무료)를 결재 하세요.※ Windows Media Player창이 뜨면 Player버튼을 눌려 동영상을 재생 합니다. [내용] 2004년 3월 28일 (일) / 제 77 회 ▣ 월남에서 돌아온 새까만 김 병장 2004년 베트남 파병이 40주년을 맞았다. 그리고 올해 이라크 파병 을 앞두고 있는 이 시점에 방송되는 '월남에서 돌아온 새까만 김 병장' 편에서는 경제 발전을 일으켰다는 미명 아래 외면해왔던 베 트남 전을 정면으로 파헤쳐 보는 시간을 마련한다. 이에 따라 기존의 국방부나 정부기록 자료뿐만 아니라 제작진이 발로 뛰어 만난 참전군인들의 생생한 육성을 통해 베트남 전쟁과 한길리서치에 의뢰한 설문조사를 통해 베트남 전에 관한 참전 군 인들의 생각을 들어본다 * 참전 군인들의 생생한 육성을 듣다 제작진은 당시 베트남에 참전했던 군인들을 만나기 위해 함평으 로 향했다. 사병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하였던 함평의 참전 군인들 은 전장에서의 생생한 경험을 털어놓았다. "사병은 죽으러 왔고 하 사관은 고생하러 왔고 장교는 돈 벌러 왔는데 너는 죽으려고 왔냐 고 하더라고." "조실부모하고 없는 살림에 제대해봤자 별 볼 일없 고 안 죽으면 돈 번다는 생각이었지" 함평의 참전 군인 모행원 씨. 그는 제작진 앞에서 베트남 참전 당 시 기록을 처음으로 꺼내들었다. 다음은 훈장과 맞바꾸어 가지고 온 그의 베트남 추억록의 한 구절이다. "인간의 존엄성이 무시되 고 또 무시 당하는 전쟁이란 무엇이요? 누가 만든 것이요? 사이사 이에 시간은 흐르고 전우들은 마음으로 아니 육체적으로 전쟁을 저주하노라.전쟁의 도발자를 하늘에 고발하노라" * 다니엘 엘스버그가 말하는 모어플랙(More Flag) 캠페인의 진실 존슨 대통령은 자유 우방국의 이름으로 25개국에 베트남전 파병 을 요청한다. 이른바 모어플랙(More Flag) 캠페인. 그러나 모어플 랙(More Flag) 캠페인의 결과는 25개국 중 겨우 한국을 비롯한 7 개국 참가였다. 미국의 태도가 달라지기 시작했다. "세계적 관습에 의거, 한국군 파병 비용은 한국이 지불해야 한다'던 처음의 태도와 달리, 2차 파 병 때부터는 한국군 파병에 드는 모든 비용을 미국이 부담하기 시 작한다. 그리고 이 사실을 비밀에 부칠 것을 요구한다. 미국에게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이 요구되었던 이유 는 무엇일 까? 국방부 자문위원으로서 펜타곤 보고서로 명분 없는 베트남 전 쟁을 고발했던 다니엘 엘스버그는 말한다. "단순히 홍보목적을 위 한 것이었다. 미국만이 혼자 짐을 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으려 는 것이었다." 베트남 파병이 논의되던 당시 드물게 반대의견을 개진했던 강원룡 목사는 당시 정무담당 참사관이었던 필립 하비브로부터 뜻밖 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. 미국이 베트남전에 개입함으로써 "백인과 황인종간의 전쟁"이라는 오명을 쓰지 않고 "황인종간의 전쟁"이라 는 점을 들기 위해 한국군이 필요했다는 것이었다. * 누구에게 기회의 전쟁이었는가? 전투병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낮은 수당을 받는 한국군. 심지어 월 남군보다도 적은 수당을 받았다. 베트남 파병국 인 필리핀과 태국 군의 수당과 비교해도 3분의 1수준이었다. 미국군과 비교하면 20 분의 1수준인 한국군 수당. 정부는 한국의 경제 수준이 필리핀, 태국의 1인당 GNP의 3분의 1 이기 때문에 수당은 적은 액수이지만 어쩔 수 없는 수준이었다고 말했다. 그러나 제작진이 조사해본 결과, 한국은 65년도 1인당 국 민총소득은 한국이 약 104달러, 필리핀은 190달러, 태국은 129달러 로 나타났다. 특히 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우리나라의 약 1.2 배 수준에 그쳤다. 그러나 정부는 참전군인들의 낮은 수당에도 불 구하고 파병을 감행했다. * 설문조사를 통해 보는 베트남 전쟁 제작진은 최초로 설문조사를 통해 베트남 파병을 되돌아보았다. 제작진은 한길 리서치에 베트남전 관련 설문 조사를 의뢰했다. 설 문조사는 전남에 거주하는 베트남 전 참전자 308명을 대상으로 전 화 면접을 통해 실시되었다.(신뢰수준 95%, 표준오차범위 5.6%) 1965년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김성은 국방장관은 베트남으로 가는 파월 군인들 전부가 지원서에 서명 을 했고, 지원병만을 보냈다고 주장했다. 그러나 지원은 65.6%, 차출은 34.4%였으며, 차출되어 베트남 으로 간 참전자 중 지원서를 자발적으로 쓰지 않았다고 참 전군인 61.3%가 응답하여 국가가 지원서를 강제로 쓰게 했다는 의 혹이 제기되었다. 또, 자신이 받는 수당이 다른 파병국 군인들에 비해 적다는 사실 을 가기 전에 알고 있었다는 응답은 6.2%에 불과했으며, 당시 한국 군 수당이 다른 파병국 군인 들에 비해 적었다는 점에 대해 불공평 하다는 응답이 79.5%로 나타났다.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도 64.6%가 자유세계 수호 위한 반공 전쟁이 며, 19.8%가 베트남 독립전쟁으로 알고 있었다. 참전자들의 지원 동기로는 국가의 명예를 위해서 39.6%, 전투경험을 쌓기 위해서 26.7%, 돈을 벌기 위해서 20.8%순으로 나타났다. 한편 참전군인 에 대한 나라의 처우는 77.3%가 불만족, 22.4%만이 만족하였는데 박정희의 파병에 대한 평가는 긍정 83.8%, 부정 12.7%로 엇갈리 게 나타났다. |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작성일 | 조회수 |
1,392 | 경 고 - 주 의 !!! | 김복만 | 2006.07.23 | 7,482 |
1,391 | 살려 주세요.~ [2] | 이정범 | 2006.07.22 | 3,185 |
1,390 | YTN 돌발영상[전당대회 이모저모) [1] | 이정범 | 2006.07.20 | 3,231 |
1,389 | 여러가지 유공자 명칭 통합 건의 [3] | 김철수 | 2006.07.18 | 3,525 |
1,388 | mbcTV 이제는 말 할 수 있다.(월남에서 돌아온 새까만 김병장) 다시보기 [1] | 이정범 | 2006.07.17 | 3,860 |
1,387 | 각종 전우회 통합하면 큰 힘 않될까요? [1] | 김철수 | 2006.07.17 | 3,234 |
1,386 | kbs 뉴스특보 | 이정범 | 2006.07.16 | 3,624 |
1,385 | 2008학년도 국가유공자 등의 자녀에 대한특별전형 | 김복만 | 2006.07.16 | 3,850 |
1,384 | ♣ 설문제목 : 참전유공자를 국가유공자 지정여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입니다. | 이정범 | 2006.07.13 | 5,445 |
1,383 | 국가보훈처 여론조사 | 김복만 | 2006.07.13 | 11,607 |